2015년부터 공기압 센서 적용이 의무사항이 되어 공기압 체크가 가능해졌어요.
각 차량 왼쪽 밑에 보면 아래와 같이 자신의 차량에 맞는 공기압(kPa)이 표시되어 있어요
제 차량은 타이어 공기압이 240 kPa이네요. 근데 겨울철이든, 여름철이든 기준 타이어 공기압의 10%를 더 올려서 채우는 게 타이어 수명에 더 도움이 되고 더 안전해요. 그래서 240이 아니라 10%면 264 정도 되겠네요.
제 차량은 16년식 더넥스트스파크인데요, 제 차 트렁크 매트를 들쳐보면 공기주입기가 있어요.
이거로 바람을 넣어줄 거에요. 트렁크에 공기주입기가 없는 차주 분들은 가까운 정비소에 가서 바람을 넣으셔야 할 거 같아요ㅠ
■ 타이어에 바람 넣는 순서
1. 트렁크에서 공기 주입기를 꺼낸다.
2. 시동을 켠다.
3. DC 시거잭 꽂는 부분에 공기주입기의 전원선을 꽂는다.
4. 자신의 공기압 상태를 확인한다.
5. 타이어 밸브를 열고 공기주입기와 연결한다.
6. 공기주입기의 ON 버튼을 눌러 공기주입을 시작한다.
7. 공기압 센서가 빠르게 반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10초 정도만 넣어보고 다른 타이어에 공기를 주입한다.
8. 네바퀴 모두 적정 공기압이 채워졌는지 확인한다.
9. 공기압이 덜 채워졌으면 공기를 더 넣는다.
공기압이 과도하게 많이 채워졌으면, 공기주입기와 밸브를 살짝만 결합하면 "피식~"하는 바람 새는 소리가 들리면서 타이어에서 공기가 빠진다.
여러 번 하다 보면 어느 정도 공기를 넣어야 하는지 감이 올 것이다.
10. 최종적으로 계기판에서 공기압을 확인하고 시동을 끈다.
■ 수고하셨어요~!
공기압을 더 채워서 현재 제 차량 공기압은 230에서 다음과 같이 올라갔어요.
네 바퀴의 공기압을 일정하게 맞춰줘야 어느 한 타이어에 무게가 쏠리지 않아요.
240은 넘은 데다가 오래 주차해 있을 때의 공기압이니까 괜찮겠지 하고 이 정도로 놔뒀어요.
최소한 명시되어 있는 공기압 이상은 넣으셔야 돼요
'꿀팁 > 자동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전면허 필기 시험 문제 가져가세요~ (1종, 2종 보통 / 1종대형, 특수 / 이륜자동차) (0) | 2022.12.13 |
---|---|
성남 차량 실내 청소 업체 (시트 탈거) (feat. 차량 에어컨 청소).nogone (0) | 2022.12.06 |
차 앞유리에 눈이 얼었을때(feat. 다이소 성에저거기).nogone (0) | 2022.02.14 |
의정부 최저가 타이어 교체 맛집 (스파크 타이어 사이즈).nogone (0) | 2022.02.13 |
스노우 체인 추천 및 설치 방법 (feat. 킹스파이크 스노우체인).nogone (0) | 2022.02.12 |
댓글